마태복음 16:1-28
연구 노트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일부 주요 고대 사본에는 2절의 뒷부분과 3절 전체가 빠져 있다. 이 부분이 원본에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다소 불확실한 점이 있지만, 권위 있는 여러 학자들은 이 부분이 초기와 후기의 많은 사본에 들어 있으므로 성경 본문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간음하는: 영적 간음 즉 하느님께 불충실한 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막 8:38 연구 노트 참조.
요나의 표징: 마 12:39 연구 노트 참조.
맞은편으로: 갈릴리 바다 건너편, 아마도 북동쪽 연안에 있는 벳새다 쪽이었을 것이다.
누룩: 또는 “효모”. 성경에서 부패와 죄를 의미하는 비유적인 표현으로 자주 사용된다. 이 구절에서는 부패한 가르침을 가리킨다.—마 16:12; 고전 5:6-8. 마 13:33 연구 노트 비교.
바구니: 예수께서 두 차례 기적으로 무리를 먹이신 일을 묘사하는 성경 기록(마 14:20; 15:37; 16:10 연구 노트 및 막 6:43; 8:8, 19, 20의 평행 기록 참조)에서 필자들은 남은 음식을 모으는 데 사용한 바구니의 종류를 일관되게 구분해서 표현한다. 그분이 약 5000명을 먹이신 경우에는 그리스어 코피노스(“바구니”로 번역됨)가 사용되었고, 4000명을 먹이신 경우에는 그리스어 스피리스(“큰 바구니”로 번역됨)가 사용되었다. 이 점을 볼 때 필자들이 직접 그 자리에 있었거나, 그 광경을 목격한 신뢰할 만한 사람들에게서 정보를 수집했음을 알 수 있다.
큰 바구니: 또는 “양식 바구니”.—마 15:37; 16:9 연구 노트 참조.
카이사레아 빌립보: 요르단강 발원지에 위치한 도시. 해발 350미터에 있는 이 도시는 갈릴리 바다에서 북쪽으로 약 40킬로미터 떨어져 있었으며 헤르몬산 남서쪽 기슭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었다. 헤롯 대왕의 아들인 분봉왕 빌립이 로마 황제에게 영예를 돌리기 위해 이 도시에 카이사레아라는 이름을 붙였다. 같은 이름을 가진 항구 도시와 구분하기 위해 “빌립의 카이사레아”라는 뜻의 카이사레아 빌립보라고 부르게 되었다.—부록 나10 참조.
‘사람의 아들’: 마 8:20 연구 노트 참조.
침례자 요한: 마 3:1 연구 노트 참조.
엘리야: 마 11:14 연구 노트 참조.
시몬 베드로: 마 10:2 연구 노트 참조.
그리스도: 베드로는 예수가 “그리스도”(그리스어 원어는 호 크리스토스)라고 말한다. 이 칭호는 “메시아”(히브리어 마시아흐에서 유래)에 해당하는 것으로, 둘 다 “기름부음받은 자”라는 의미이다. 이 구절에서 “그리스도” 앞에는 정관사(호)가 사용되었는데, 이것은 메시아라는 예수의 직분을 강조하기 위해서인 것 같다.—마 1:1; 2:4 연구 노트 참조.
살아 계신 하느님: 카이사레아 빌립보 지방 사람들(마 16:13)과 같은 이방 사람들이 섬기던 생명 없는 신들과는 달리, 여호와께서는 살아 계시고 행동하시는 하느님임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행 14:15) 이 표현은 히브리어 성경에도 나온다.—신 5:26; 렘 10:10.
요나의 아들: 또는 “바요나”. 히브리인들은 “아들”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벤이나 아람어 바를 아버지의 이름 앞에 붙여서 자신의 성처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바돌로매, 바디매오, 바예수와 같은 여러 이름에 아람어 바가 들어 있다는 사실은 예수 시대에 사용되던 히브리어가 아람어의 영향을 받았다는 증거이다.
살과 피: 또는 “사람”. 유대인들이 자주 사용하던 표현이다. ‘살과 피가 알려 준 것이 아니’라는 예수의 말씀은 베드로가 스스로 알아내거나 다른 사람이 알려 준 것이 아니라는 의미이다.—갈 1:16, 각주.
당신은 베드로입니다. 이 반석 위에: 베드로라는 이름은 남성형 그리스어 명사 페트로스를 음역한 것으로, “바위; 돌”을 의미한다. 이것은 예수께서 시몬에게 주신 이름인 게바의 그리스어 형태이다. (요 1:42) “반석”으로 번역된 원어는 그 단어의 여성형인 페트라로서 기반암, 절벽, 커다란 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그리스어 단어는 마 7:24, 25; 27:60; 눅 6:48; 8:6; 롬 9:33; 고전 10:4; 벧전 2:8에도 나온다. 베드로는 자신이 예수께서 세우실 회중의 반석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음이 분명하다. 그가 벧전 2:4-8에서 예수가 오래전에 예언된 “기초 모퉁잇돌”로서 하느님께서 친히 선택하신 분이라고 기록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사도 바울도 예수를 “기초”와 “영적 바위”로 언급했다. (고전 3:11; 10:4) 따라서 예수께서 발음이 비슷한 두 단어를 사용하여 하신 말씀은 사실상 이런 뜻이었을 것이다. ‘내가 베드로 즉 바위(페트로스)라는 이름을 지어 준 당신은 그리스도가 누구인지를 정확히 분별했습니다. 그리스도 즉 “이 반석(페트라)”이 그리스도인 회중의 기초가 될 것입니다.’
회중: 그리스어 엑클레시아는 이 구절에서 처음 나온다. 이 단어는 “밖으로”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엑과 “부르다”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칼레오가 결합된 형태이다. 이 단어는 특정한 목적이나 활동을 위해 소집되거나 부름을 받은 사람들의 집단을 가리킨다. (용어 설명 참조) 이 문맥에서 예수께서는 기름부음받은 그리스도인들로 이루어진 그리스도인 회중이 형성될 것임을 예언하신 것이다. 그들은 “산 돌”로서 “영적인 집으로 세워져” 간다. (벧전 2:4, 5) 「칠십인역」에서는 “회중”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카할을 번역할 때 이 그리스어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히브리어 카할은 종종 하느님의 백성이었던 민족 전체를 가리킨다. (신 23:3; 31:30) 행 7:38에서는 부름을 받아 이집트에서 나온 이스라엘 사람들을 “회중”이라고 부른다. 그와 비슷하게, ‘어둠에서 부름을 받’고 ‘세상에서 선택된’ 그리스도인들은 “하느님의 회중”을 구성한다.—벧전 2:9; 요 15:19; 고전 1:2.
무덤: 또는 “하데스”. 인류의 공통 무덤을 가리킨다. (용어 설명 참조) 성경은 죽은 사람이 “죽음의 문”(시 107:18) 또는 “무덤의 문”(사 38:10) 안에 있는 것으로, 즉 죽음에 갇혀 있는 것으로 묘사한다. 예수께서는 무덤에 대한 승리를 약속하셨는데, 이것은 부활을 통해 무덤의 “문”이 열려 죽은 사람들이 풀려날 것이라는 의미이다. 그분 자신이 부활되신 것은 그 약속이 반드시 이루어질 것임을 보증한다. (마 16:21) 회중의 기초이신 예수께서 회중의 성원들을 죽음에서 풀려나게 하실 수 있는 분이므로, 무덤이 회중을 이기거나 영구적으로 가두어 둘 수는 없다.—행 2:31; 계 1:18; 20:13, 14.
하늘 왕국의 열쇠들: 성경에서 문자적으로든 비유적으로든 열쇠를 받는 사람은 어느 정도 권한을 부여받았다. (대상 9:26, 27; 사 22:20-22) 따라서 “열쇠”라는 말은 권한과 책임을 상징하게 되었다. 베드로는 자신에게 맡겨진 “열쇠들”을 사용하여 유대인들에게(행 2:22-41), 사마리아인들에게(행 8:14-17), 이방인들에게(행 10:34-38) 하느님의 영을 받고 하늘 왕국에 들어갈 기회를 열어 주었다.
묶는 ··· 푸는: 또는 “잠그는 ··· 여는”. 어떤 행동이나 일의 진행을 금하거나 허용하는 결정을 가리키는 것 같다.—마 18:18 연구 노트 비교.
이미 묶여 있는 ··· 이미 풀려 있는: 원어로는 “되다”라는 동사에 각각 “묶다”와 “풀다”를 의미하는 동사가 결합되어 있는 표현인데, 독특하게도 “되다”는 미래형인 반면 “묶다”와 “풀다”는 완료형으로 되어 있다. 이 말은 베드로가 어떤 결정을 내리든(‘무엇이든지 당신이 묶으면’; ‘무엇이든지 당신이 풀면’) 하늘에서는 그에 해당하는 결정이 이미 내려져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그의 결정은 하늘의 결정을 앞서는 것이 아니라 하늘의 결정을 따르는 것이다.—마 18:18 연구 노트 참조.
그리스도: 마 16:16 연구 노트 참조.
예수: 일부 고대 사본에는 “예수 그리스도”라고 되어 있다.
장로들: 직역하면 “연로자들”. 성경에서 그리스어 프레스비테로스는 지역 사회나 나라에서 권위와 책임을 가진 지위에 있는 사람을 주로 가리킨다. 이 단어가 눅 15:25에 나오는 “큰아들”과 행 2:17에 나오는 “노인”의 경우처럼 나이와 관련이 있을 때도 있지만, 반드시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 구절에서는 유대 민족의 지도자들을 가리키는데, 그들은 흔히 수제사장들과 서기관들과 함께 언급된다. 산헤드린은 이 세 부류의 사람들로 구성되었다.—마 21:23; 26:3, 47, 57; 27:1, 41; 28:12. 용어 설명 “장로; 연로자” 참조.
수제사장들: 마 2:4 연구 노트 및 용어 설명 “수제사장” 참조.
서기관들: 마 2:4 연구 노트 및 용어 설명 “서기관” 참조.
사탄: “대항자; 반대자”라는 의미의 히브리어. 예수께서는 베드로가 실제로 사탄 마귀라는 뜻이 아니라 그가 대항자 또는 반대자라는 뜻으로 이 말씀을 하신 것이다. 어쩌면 베드로가 그러한 말을 한 것이 사탄에게 영향을 받았기 때문임을 암시하신 것일 수 있다.
내 뒤로 물러나시오!: 예수께서는 베드로를 강하게 “꾸짖”으셨다. (막 8:33) 그분은 자신이 아버지의 뜻을 행하는 것을 그 어떤 것도 방해하지 못하게 하셨다. 일부 사전에 따르면 이 관용구는 “내 눈앞에서 사라지시오!”라는 의미이며, 몇몇 성경 번역판에서는 이 표현을 “내게서 물러가시오”라고 번역한다. 또한 예수의 말씀은 베드로에게 그의 합당한 위치가 무엇인지를 일깨워 주었을 것이다. 그는 예수께서 가시는 길을 방해하는 걸림돌이 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주인인 예수의 제자로서 그분을 지원하는 역할을 해야 했다.
걸림돌: 마 18:7 연구 노트 참조.
자기를 부인하고: 또는 “자신의 권리를 모두 포기하고”. 이 말은 기꺼이 자신을 철저히 부정하거나 자신에 대한 소유권을 하느님께 넘기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스어 원어는 “자기 자신을 거부하고”라고도 옮길 수 있는데, 이러한 번역도 적절한 이유는 이 표현이 자신의 욕망이나 야망이나 편의를 따르기를 거부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고후 5:14, 15) 마태는 베드로가 예수를 안다는 사실을 부인한 일을 기록할 때 동일한 그리스어 동사를 사용했다.—마 26:34, 35, 75.
형주: 또는 “고통의 기둥”. 고전 그리스어에서 스타우로스라는 단어는 주로 수직의 기둥이나 말뚝을 가리켰다. 이 단어는 예수의 제자라는 이유로 겪게 되는 고통, 수치, 고난, 죽음을 상징하기도 한다.—용어 설명 참조.
목숨: 또는 “영혼”.—용어 설명 “영혼” 참조.
목숨: 마 16:25 연구 노트 및 용어 설명 “영혼” 참조.
진실로: 마 5:18 연구 노트 참조.
미디어
성경에는 다양한 형태의 바구니를 묘사하는 몇 가지 단어가 나온다. 예를 들어, 예수께서 기적으로 약 5000명의 남자를 먹이셨을 때 남은 음식을 담은 12개의 바구니는, 그리스어 원문에 나오는 단어를 볼 때 잔가지를 엮어 만든 비교적 작은 손바구니였을 것이다. 그런데 예수께서 약 4000명의 남자를 먹이셨을 때 남은 음식을 담은 7개의 바구니를 가리키는 데는 다른 그리스어 단어가 사용되었다. (막 8:8, 9) 이 단어는 큰 바구니 또는 양식 바구니를 가리킨다. 다마스쿠스의 성벽 구멍을 통해 바울을 내려보낼 때 쓰인 광주리를 가리키는 데도 동일한 그리스어 단어가 사용되었다.—행 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