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행전 6:1-15

6  그 무렵 제자들이 증가하자, 그리스어를 하는 유대인들이 히브리어를 하는 유대인들에 대해 불평하기 시작했다. 그들의 과부들이 매일 음식을 나누어 받을 때 소홀히 여겨졌기 때문이다.+ 2  그래서 열두 사도가 많은 제자를 불러 모아 놓고 말했다. “우리가 하느님의 말씀을 제쳐 놓고 식탁에 음식을 나누어 주는 일을 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3  그러므로 형제 여러분, 여러분 가운데서 평판이 좋고+ 영과 지혜가 충만한+ 사람 일곱을 선택하십시오. 그러면 이 필요한 일은 그들에게 맡기고+ 4  우리는 기도와 말씀의 봉사에 전념할 것입니다.”+ 5  모두가 그 말을 듣고 기뻐했다. 그리하여 그들은 믿음과 성령이 충만한 사람인 스데반,+ 그리고 빌립,+ 브로고로, 니가노르, 티몬, 바르메나, 안티오크의 개종자인 니골라를 선택하여, 6  사도들에게 데려갔다. 사도들은 기도한 후에 그들에게 손을 얹었다.+ 7  그리하여 하느님의 말씀이 계속 퍼지고+ 예루살렘에서 제자들의 수가 계속 크게 늘어났으며,+ 많은 제사장들이 믿음에 순종하기 시작했다.+ 8  스데반은 하느님의 은혜와 능력이 충만하여 백성 가운데서 매우 놀라운 일과 표징을 행하고 있었다. 9  그때에 이른바 ‘해방민의 회당’에 속한 몇몇 사람이 얼마의 키레네 사람들과 알렉산드리아 사람들과 길리기아와 아시아 출신 사람들과 함께 와서 스데반과 논쟁했다. 10  하지만 그가 지혜와 영으로 말하는 것을 당해 낼 수 없었다.+ 11  그래서 그들은 은밀히 사람들을 선동하여 “우리는 그가 모세와 하느님을 모독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하고 말하게 했다.+ 12  그들은 백성과 장로들과 서기관들을 부추겨 갑자기 그에게 몰려가서 그를 붙잡아 산헤드린으로 끌고 갔다. 13  그리고 거짓 증인들을 내세웠는데, 그들은 이렇게 말했다. “이 사람은 끊임없이 이 거룩한 곳과 율법을 거슬러 말합니다.+ 14  예를 들면, 나사렛 사람 예수가 이곳을 헐고+ 또 모세가 우리에게 전해 준 관습도 바꿀 것이라고 말하는 것을 우리가 들었습니다.” 15  산헤드린에 앉아 있던 모든 사람이 그를 바라보니 그의 얼굴은 천사의 얼굴 같았다.

각주

연구 노트

그리스어를 하는 유대인들: 직역하면 “헬레니스트”. 이 표현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헬레니스테스는 그리스인들의 문헌이나 헬레니즘에 영향을 받은 유대인들의 문헌에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문맥을 볼 때 “그리스어를 하는 유대인들”이라고 번역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많은 사전에서도 그 점을 뒷받침한다. 그리스어를 하는 제자들을 포함하여 당시 예루살렘에 있던 그리스도인 제자들은 모두 유대인 혈통이거나 유대교 개종자였다. (행 10:28, 35, 44-48) 이 구절에서는 “그리스어를 하는 유대인들”에 해당하는 표현이 “히브리어를 하는 유대인들”에 해당하는 표현(직역하면 “히브리인들”, 그리스어 에브라이오스의 복수형)과 대비되어 사용되었다. 따라서 여기서 “헬레니스트”는 그리스어로 의사소통하는 유대인들을 가리킨다. 그들은 로마 제국의 여러 지역에서 예루살렘으로 왔는데, 그중에는 데카폴리스도 포함되었던 것 같다. 하지만 히브리어를 하는 유대인들은 대부분 유대 사람이나 갈릴리 사람이었을 것이다. 히브리어를 하는 유대인 그리스도인들과 그리스어를 하는 유대인 그리스도인들은 문화적 배경에 어느 정도 차이가 있었을 것이다.—행 9:29 연구 노트 참조.

히브리어를 하는 유대인들: 직역하면 “히브리인들”. 그리스어 에브라이오스(단수형)는 일반적으로 이스라엘 사람 즉 히브리인을 가리킨다. (고후 11:22; 빌 3:5) 하지만 이 문맥에서는 그리스어를 하는 유대인 그리스도인들과 대비되는 표현으로 사용되어, 히브리어를 하는 유대인 그리스도인들을 가리킨다.—이 구절에 나오는 그리스어를 하는 유대인들에 대한 연구 노트 및 요 5:2 연구 노트 참조.

매일 음식을 나누어 받을 때: 또는 “매일의 봉사에서”. 그리스어 디아코니아는 흔히 “봉사의 직무”로 번역되는데, 여기서는 봉사의 직무 가운데 회중 내의 도움이 필요한 형제 자매들을 물질적으로 돌보는 부면을 가리킨다.—디아코니아의 동사형인 디아코네오가 “음식을 나누어 주다”로 번역된 행 6:2 연구 노트 참조. 또한 눅 8:3 연구 노트 참조.

음식을 나누어 주는: 또는 “봉사하는; 섬기는”. 여기서 그리스어 디아코네오는 봉사의 직무의 한 부면을 가리키는 말로, 회중 내에서 도움을 받을 자격이 있는 궁핍한 동료 신자들을 물질적으로 돌보는 것과 관련이 있다.—디아코네오의 명사형인 디아코니아가 “음식을 나누어 받다”로 번역된 행 6:1 연구 노트 참조. 또한 눅 8:3 연구 노트 참조.

옳지 않습니다: 직역하면 “기쁨이 되는 일이 아닙니다.” 하느님의 “말씀의 봉사”를 소홀히 하는 것은 하느님에게나 사도들에게나 기쁨이 되는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행 6:4.

평판이 좋[은] 사람: 이 표현에는 그리스어 동사 마르티레오(“증거하다; 증언하다”)의 수동형이 사용되었다. 자격을 갖춘 사람들이 필요했던 이유는 단순히 음식을 나누어 주는 일만 하는 것이 아니라 돈을 관리하고 물품을 구입하고 세심하게 기록하는 일도 해야 했기 때문인 것 같다. 그들은 영과 지혜가 충만한 사람들, 즉 하느님의 영의 인도를 받으며 경건한 지혜에 따라 살아간다는 증거를 제시하는 사람들이어야 했다. 그들이 처리해야 했던 문제는 매우 민감한 것이었다. 회중 내에 이미 어려움과 갈등이 생겼으므로, 좋은 판단력, 분별력, 이해력을 가진 경험 많은 사람들이 필요했다. 그러한 사람들 가운데 스데반이 있었다. 스데반이 산헤드린 앞에서 변론한 내용을 보면 그가 자격을 잘 갖춘 사람이었음을 알 수 있다.—행 7:2-53.

말씀의 봉사: 행 6:16:4에는 “봉사의 직무”를 의미하는 동일한 그리스어(디아코니아)가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 구절들에서 봉사의 직무의 2가지 부면을 언급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한 가지는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음식을 공정하게 나누어 주는 것이었고, 다른 한 가지는 하느님의 말씀에 들어 있는 영적 양식을 공급하는 것이었다. 사도들은 음식을 나누어 주는 데 시간을 바치느라 자신들의 주된 봉사의 직무를 소홀히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그들의 주된 책임은 기도하면서 연구하고, 조사하고, 가르치고, 양들을 돌봄으로 회중에 영적 양식을 공급하는 것이었다. 그들은 회중의 궁핍한 과부들을 물질적으로 돌보는 것이 그리스도인 봉사의 직무의 필수적인 부분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후에 야고보는 여호와의 영감을 받아, 하느님께서 받아들이시는 숭배를 드리고자 하는 사람은 “고난을 겪는 고아와 과부를 돌봐야” 한다고 기록했다. (약 1:27) 하지만 사도들은 과부들을 비롯해 모든 제자들의 영적 필요를 돌보는 것이 우선순위에 와야 한다는 점도 알고 있었다.

스데반, ··· 빌립, 브로고로, 니가노르, 티몬, 바르메나, ··· 니골라: 이 일곱 사람의 이름은 모두 그리스식 이름이다. 사도들은 예루살렘 회중에 있는 자격을 갖춘 모든 남자들 가운데 그리스어를 하는 유대인들이나 개종자들을 선택한 것 같다. 니골라안티오크의 개종자로 언급된 것을 볼 때, 그 일곱 명 가운데 유대인이 아닌 사람은 니골라뿐이었던 것 같다. 다른 여섯 사람의 이름은 유대인들도 많이 갖고 있던 그리스식 이름이었다. 당시 중앙장로회로 일한 사도들은 그리스어를 하는 유대인들의 감정을 고려하여 이 사람들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행 6:1-6.

안티오크: 이 도시는 성경에서 이 구절에 처음 언급된다. 안티오크는 예루살렘에서 북쪽으로 약 500킬로미터 떨어져 있었다. 이 도시는 기원전 64년에 로마 속주 시리아의 수도가 되었다. 기원 1세기 무렵에 안티오크는 로마 제국에서 로마와 알렉산드리아에 이어 세 번째로 큰 도시였다. 시리아 안티오크는 아름다운 도시였으며 정치적, 상업적, 문화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도덕적으로 타락한 도시로 악명이 높았다. 안티오크에는 유대인들이 상당히 많이 살고 있었으며,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그들은 그리스어를 하는 그곳 사람들을 많이 개종시켰다고 한다. 니골라도 그러한 개종자 중 하나였으며 후에 그리스도인이 되었다. 바나바와 사도 바울은 안티오크에 1년간 머무르면서 사람들을 가르쳤으며, 바울은 이 도시를 근거지로 하여 여러 차례 선교 여행을 했다. 안티오크에서 그리스도의 제자들은 처음으로 “하느님의 섭리에 따라 그리스도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행 11:26 연구 노트 참조) 이 안티오크는 행 13:14에 나오는 피시디아의 안티오크와는 다른 도시이다.—행 13:14 연구 노트부록 나13 참조.

그들에게 손을 얹었다: 히브리어 성경에는 사람이나 동물에게 손을 얹는 일이 언급되는데, 그러한 행동에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었다. (창 48:14; 레 16:21; 24:14) 어떤 사람에게 손을 얹는 것은 대개 그 사람을 특별한 면으로 인정하거나 특별한 목적을 위해 일하도록 지정한다는 의미였다. (민 8:10) 예를 들어 모세는 여호수아를 자신의 후임자로 인정한다는 뜻으로 그에게 손을 얹었다. 그 결과 여호수아는 “지혜의 영이 충만”하게 되어 이스라엘을 올바로 인도할 수 있었다. (신 34:9) 이 구절(행 6:6)에서는 사도들이 형제들에게 손을 얹어 그들을 책임 맡은 위치에 임명했다고 알려 준다. 사도들이 기도한 후에 손을 얹었다는 것은 그들이 하느님의 인도를 받으려고 했다는 점을 보여 준다. 후에 장로들이 디모데가 특별한 봉사를 하도록 임명할 때도 그들은 그에게 손을 얹었다. (딤전 4:14) 나중에 디모데도 사람들에게 손을 얹어 그들을 임명할 권한을 갖게 되었다. 하지만 그는 그렇게 하기 전에 그들의 자격을 주의 깊이 검토해야 했다.—딤전 5:22.

놀라운 일: 또는 “전조”.—행 2:19 연구 노트 참조.

‘해방민의 회당’: 로마 통치 시대에 “해방민”은 노예 신분에서 자유롭게 된 사람이었다. 일부 학자들의 견해에 따르면, 이 회당에 속한 사람들은 로마인들에게 사로잡혀 갔다가 후에 자유를 얻은 유대인들이었을 수 있다. 그런가 하면 그들이 노예였다가 자유를 얻고 유대교 개종자가 된 사람들이었다는 견해도 있다.

장로들: 마 16:21 연구 노트 참조.

나사렛 사람: 막 10:47 연구 노트 참조.

천사의 얼굴 같았다: “천사”로 번역되는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단어 모두 “사자”를 의미한다. (요 1:51 연구 노트 참조) 천사들은 하느님의 소식을 전하기 때문에, 그분의 지원을 확신하는 가운데 두려움 없이 평온한 태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와 비슷하게 스데반의 얼굴에도 하느님의 사자가 갖는 그러한 표정이 나타나 있었다. 그것은 풀이 죽은 죄인의 얼굴이 아니었다. 그는 평온한 태도를 유지했으며, 그의 얼굴 표정에는 “영광의 하느님”이신 여호와께서 자신을 지원해 주신다는 확신이 나타나 있었다.—행 7:2.

미디어

그리스어를 하는 유대인들에게 쓴 글이 들어 있는 테오도투스 비문
그리스어를 하는 유대인들에게 쓴 글이 들어 있는 테오도투스 비문

가로 72센티미터, 세로 42센티미터 크기의 석회암 판에 새겨진 이 비문은 테오도투스 비문으로 알려져 있다. 이 비문은 20세기 초에 예루살렘의 오벨(오펠) 언덕에서 발견되었다. 그리스어로 된 이 비문에서는 “율법을 낭독하고 계명을 가르칠 회당을 만든” 제사장인 테오도투스를 언급한다. 이 비문은 기원 70년에 예루살렘이 멸망되기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비문을 보면 기원 1세기에 예루살렘에 그리스어를 하는 유대인들이 있었다는 점을 분명히 알 수 있다. (행 6:1) 일부 학자들은 이 비문에 언급된 회당이 성경에 언급된 “해방민의 회당”과 동일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행 6:9) 또한 이 비문에서는 테오도투스와 그의 아버지와 할아버지가 아르키시나고고스(“회당 책임자”)라는 직함을 가지고 있었다고 언급한다. 그 단어는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 여러 번 나온다. (막 5:35; 눅 8:49; 행 13:15; 18:8, 17) 이 비문에서는 테오도투스가 다른 지역에서 온 사람들이 묵을 숙소를 만들었다는 점도 알려 준다. 그 숙소는 예루살렘을 방문한 유대인들 특히 연례 축제를 지키러 온 사람들을 위한 숙소였을 것이다.—행 2:5.

시리아 안티오크
시리아 안티오크

사진에 나오는 것은 오늘날 튀르키예의 안타키아라는 도시의 모습이다. 이곳은 로마 속주 시리아의 수도인 고대 도시 안티오크가 있었던 곳이다. 기원 1세기에 시리아 안티오크는 로마 제국에서 로마와 알렉산드리아에 이어 세 번째로 큰 도시였다. 일부 학자들은 당시 그곳의 인구가 25만 명 이상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예루살렘에서 스데반이 폭도들에게 살해되고 예수의 제자들에 대한 박해가 일어나자, 그들 중 일부가 안티오크로 갔다. 그들은 그곳에서 그리스어를 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소식을 전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다. (행 11:19-21) 후에 사도 바울은 안티오크를 근거지로 하여 여러 차례 선교 여행을 했다. 또한 “안티오크에서 처음으로 제자들은 하느님의 섭리에 따라 그리스도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행 11:26) 시리아 안티오크는 행 13:14; 14:19, 21; 딤후 3:11에 나오는 피시디아(튀르키예 중부)의 안티오크와는 다른 도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