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바로 가기

차례 바로 가기

(dancing)

몸을 율동적으로 움직이는 동작. 대개 음악에 맞추어서 하며, 춤의 종류는 느린 템포에서 격렬하고 광적인 움직임까지 아주 다양하다. 춤은 감정과 심경을 겉으로 표현하는 것으로서, 흔히 기쁨과 환희를 표현하지만 (출전(出戰)의 춤에서 볼 수 있듯이) 미움과 복수심을 표현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춤으로 표출되는 감정과 느낌은 알맞게 채색된 의상이나 상징적인 장식품들에 의해 부각된다.

예술의 한 분야인 춤의 기원은 아주 오래전으로 소급되며, 태고부터 거의 모든 인종은 특히 숭배에서, 감정 표현의 수단으로 춤을 사용하였다. 히브리어 성경에는 “춤”, “원무”, “둘러서서 춤추다”, “뛰놀다”로 번역되는 몇 가지 표현이 나온다. 기본적으로 “휘몰아치다, 돌다”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동사 도 “춤추다”로 번역된다. (판 21:21. 렘 30:23; 애 4:6 비교) 이 동사에서 “춤, 원무”를 의미하는 두 명사가 파생되었는데, 마홀(렘 31:4; 시 150:4)과 메홀라가 그것이다.—아 6:13; 판 21:21.

승리와 축제의 춤 이스라엘이 여호와께서 이집트인들을 멸망시키며 나타내신, 믿음을 고무하는 능력의 현시를 목격한 후에 춤추는 자들은 여호와께 마음에서 우러나온 찬양과 감사를 표현하였다. 모세와 함께 남자들이 승리의 노래를 부르자, 미리암은 여자들을 인솔하여 탬버린에 맞추어 춤을 추었다. (출 15:1, 20, 21) 입다의 딸도 깊은 신앙심에서 우러나와 승리의 춤을 추었다. 그는 암몬 사람들을 자기 아버지의 손에 넘겨주신 여호와를 찬양하는 일에 아버지와 함께하기 위해 나왔다. (판 11:34) 이스라엘 여자들은 류트와 탬버린 소리에 맞추어 춤을 추면서, 여호와께서 블레셋 사람들에게 승리를 거두신 후에 돌아오는 사울과 다윗을 환영하였다. (삼첫 18:6, 7; 21:11; 29:5) 춤은 여호와에 대한 숭배와 관련하여 특정한 연례 축제들에서 행사의 일부가 되었다. (판 21:19-21, 23) 시편도 춤이, 여호와께 영예를 돌리고 여호와를 찬양하는 하나의 수단이었음을 인정한다. “너희는 를 찬양하여라! ··· 춤을 추며 그분의 이름을 찬양하고, 탬버린과 수금을 가지고 그분에게 찬양 노래를 불러라.” “탬버린과 원무로 그분을 찬양하[여라].”—시 149:1, 3; 150:4.

계약의 궤가 마침내 예루살렘에 도착한 때는 특별한 때였다. 특히 매우 정열적인 춤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출한 다윗 왕에게는 그러하였다. “다윗은 ··· 여호와 앞에서 힘을 다하여 춤을 추었다. ··· 여호와 앞에서 뛰면서 춤을 추[었다].” (삼둘 6:14-17) 병행 성구에는 다윗이 “뛰놀”았다고 묘사되어 있다.—대첫 15:29.

이교 나라들의 백성 가운데서도 춤은 종교적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고대 바빌론과 다른 나라들의 경우 행렬은 보통 종교적인 성격을 띠었으며, 행렬에 수반되는 춤은 흔히 그 행사의 일부로서 화려하게 제공되었다. 그리스의 춤은 보통 그들의 신들과 관련된 전설을 실연하였는데, 그 신들 자신도 춤을 추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다산의 춤에는 춤추는 당사자와 관람자 모두에게 욕정을 불러일으키려는 의도가 있었다. 가나안 사람들은 풍요를 가져오는 자연의 힘을 기리기 위해 자기들의 우상과 신성한 목상 둘레를 도는 원무를 추었다. 바알 숭배는 제어되지 않은 광적인 춤과 결부되어 있었다. 엘리야 시대에 바알의 사제들이 그런 식으로 행동했는데, 그들은 악귀적인 춤을 추면서 제단 “주위를 절뚝거리고 다”니며 칼로 자기 몸에 상처를 냈다. (왕첫 18:26-29) 다른 번역판들은 그들이 “절뚝거리는 춤을 추었다”(「공동」, AT), “다리를 절며 춤을 추었다”(JP), “다리를 저는 춤을 추었다”(JB)라고 표현한다. 금송아지를 만들자 이스라엘 사람들도 그 우상 앞에서 일종의 이교 춤에 빠져 들었으며, 그 결과 여호와로부터 유죄 선고를 받았다.—출 32:6, 17-19.

춤에 관한 성서의 그 밖의 언급 이스라엘에서는 대개 무리를 지어 춤을 추었는데, 특히 여자들이 그렇게 하였다. 남자들이 춤에 가담할 때는 별도로 무리를 이루어 춤을 추었다. 남녀가 섞여서 함께 춤을 추지는 않은 것 같다. 춤은 행렬을 이루며 추는 춤과 원을 이루며 추는 춤 두 가지가 있었지만(판 21:21; 삼둘 6:14-16), 춤의 형태가 그렇다고 해서 그런 춤이 이교의 행렬 춤이나 원무와 비슷한 것은 아니었다. 춤의 동기와 의도, 공표된 춤의 목적, 춤출 때의 신체 동작, 그런 동작들이 보는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개념은 춤의 유형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고려하고 비교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는 오르케오마이라는 단어가 “춤을 추다”로 번역되어 있다. W. E. 바인에 따르면 그 단어는 “원래 아마도 발을 들어 올리는 것, 따라서 규칙적인 동작으로 뛰는 것을 의미하였을 것이다.” (「신약 단어 해설 사전」 An Expository Dictionary of New Testament Words, 1962년, 1권, 266면) 헤롯은 자기 생일잔치에서 살로메가 추는 춤을 보고 매우 기뻐한 나머지 살로메의 청을 들어주어 침례자 요한의 목을 베게 하였다. (마 14:6-11; 막 6:21-28. 살로메 2번 참조)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어린아이들이 장터에서 놀이를 하고 춤을 추는 것을 직접 관찰하셨으며, 당시의 세대를 그런 어린아이들에 비하셨다. (마 11:16-19; 누 7:31-35) 그러나 예수께서 말씀하신 탕자의 예에서는 코로스라는 다른 그리스어가 사용되었는데, 이 단어에서 영어의 “chorus”[코러스]가 파생되었다. 이 그리스어는 춤추는 사람들의 무리, 아마도 그런 잔치에서 흥을 돋우도록 고용된 일단의 무용수들과 관계가 있었을 것이다.—누 15:25.